2011년 6월 15일 수요일

[글추천] 왜 강한 노동은 경제적 번영과 함께 가는가?

한국에서 강한 노동과 경제적 번영은 양립불가능한 것으로 말해진다.

따라서 상대적으로 고액 연금을 받는 생산직 노동자들의 파업은 일단 불법이며, 도덕적으로도 용납되지 못하며, 전체 산업에 파장을 끼치기 이전에 공권력으로 단호하게 다스려져야 하는 것이 된다. 이는 탐욕스런 자본가나 극우적 자유주의 이론가가 아닌 한나라의 대통령의 시각 이다.

클린턴 정부시기 노동부 장관을 역임한 로버트 라이시의 "왜 공화당의 노동권과의 전쟁이 미국경제에 해가되나?" 글은 이들에게 대체 어떻게 읽힐까? 왜 우린 이런 노동부 장관을 소위 진보적/개혁적 정부에도 갖지 못했나?

라이시에 따르면 전후 30년간의 미국경제의 대번영(Great Prosperity)은 무엇보다 강한 노동(1955년 민간부문 조직율은 전체 노동자의 1/3)이 생산성에 걸맞는 임금을 보장함으로서 자신들이 만든 상품을 소비할 수 있게 한 덕택이다.

2011년 1월 27일 목요일

[추천글] 오바마와 미국예외주의

James Fallows Obama on Exceptionalism

2009년 Nato press conference에서 FT의 Edward Luce의 "여전히 미국 예외주의라는 관념을 고수하는가?"라는 질문에 대해..

I believe in American exceptionalism," Obama said after one beat for thought. "Just as the Brits believe in British exceptionalism, and the Greeks in Greek exceptionalism..." I don't have a transcript here, but what was impressive was how rapidly he seemed to have figured out the full shape of his answer; how effortlessly the term "the Brits" (and the instant pairing with "the Greeks") offset the seeming Oxbridge hauteur* of the question; and how he went on to give so balanced a response that no one, Yank or otherwise, could fail to be satisfied.
Then came the pivot, introduced as usual with the word "Now..." Of course America's strength didn't mean it could do things wholly on its own. And of course Obama's pride in his country didn't blind him to the fact that it sometimes could be wrong, nor to the idea that other people from other countries had good ideas that had to be heeded. Indeed, the very fact of American leadership made it all the more important to show respect and listen attentively. He wrapped it all up by saying he saw "no contradiction" between the idea that America was exceptionally strong and had an exceptional leadership role, and the reality that it needed to work with others as part of a team.

2011년 1월 24일 월요일

[추천글] 21세기 혁신경제 시대의 경쟁력

David Brooks NYT 칼럼 The Talent Magnet

<두 가지 접근>

그는 오바마 대통령이 2011년 연두연설(SOTU)을 두 가지 방식으로 접근할 수 있을 것.
하나는 일반적 방식(standard way) 이며, 다른 하나는 비전제시형 방식(visionary way) 임.

수출증대, 교육개혁, 기업 경쟁력 강화 위한 조세 개혁 등을 나열하는 일반적 방식도 나쁘지 않으나, 현재 미국(인)이 갈망하고 있는 것을 주지 못할 것.

그것은 21세기에도 번영하는 미국에 대한 보다 정확한 비전.
오바마가 미국과 모두를 위해 새로운 정부의 역할에 대한 비전을 정의해 주길 원해

비전을 담은 연설은 무엇보다 세계에서 차지하는 변화된 미국의 위치(위상)에서 시작되어야 함.

<미국의 세계 위상의 변화>

20세기 미국은 한 마디로 Big Dog (대형) 국가. 더 많은 자본, 자원, 숙련노동으로, 인풋/아웃풋 압도함으로써 경쟁자 눌러.

21세기 미국 더 이상 Big Dog 이 아님. 인적자본의 크게 확산되었고, 다른 부유한 국가들이 존재함.

<경쟁력과 경쟁의 변화>

20세기 경쟁력(competitiveness)은 다양한 힘의 집적(amassing force) 하는 것이 었다면, 21세기에는 관계를 조직(organizing relationship) 하는 것. 미국이 번영하기 위해 교차로 국가(crossroad nation)가 되어야 함을 의미.

20세기 (국가들의) 경쟁이 그래서 군대 혹은 스포츠 팀들간의 경쟁의 양상을 띄었다면, 21세기 그것은 그보다는 재능 유치를 위해 경합하는 명문(elite) 대학들간의 경쟁의 양상을 띔.

경쟁은 카리스마에 관한 것. 재능있는 인재들을 누가 얼마나 한 곳에 모아 내는가의 경쟁.
재능의 집적은 더 많은 재능이 모여들게 하는 유인이 되고, 이는 더 많은 협업을 가능케 함. (21세기 지식경제 물리적 공간 보다 더 중요함)

그래서, 21세기는 가장 다채롭고 뜨거운 곳이 지배할 것.

<새로운 경쟁의 시대 정부의 역할은?>

대학본부와 유사할 것. 즉 필수적(vital)이나 그러나 이차적(secondary) 역할을 수행
즉 제도적/조직적 셋팅, 가이드라인 설정, 여건과 환경 조성, 그러나 직접 연구에 나서지 않음.

혁신경제(innovation economy) 시대 결국 경제의 실체를 관장하는 중심행위자는 정부가 아니라 기업가 노동자 상인 등.

정부의 역할은 크게 3가지가 될 것

첫째, 전반적 환경 조성
- 경쟁적 조세코드(competitive tax rates), 예측가능한 규제(predictable regulations), 균형재정(fiscal balance)
둘째, 재능(talent) 집중에 적극적 개입해야 함
- 최근 뉴욕 부시장 Robert Steel의 연설은 이 점에서 굉장히 훌륭한 사례
셋째, 인적자본 불평등 (조건) 감소
- 정부는 조직에/ 그리고 지속적으로 개입해서 새로운 혁신경제에 누구나 참여할 기회를 제공해야 함.

# 참고: 폴 크루그먼의 The Competition Myth

2011년 1월 17일 월요일

[글추천] 표현의 자유에 대하여

# 사이몬 젠킨스 "발언의 자유는 구속없이 존재하지 않는다"


When the art historian and TV presenter Sir Kenneth Clark was asked what quality best defined civilisation, he did not answer with liberty or wealth or equality. He answered with courtesy, the framework of rules governing people's tolerance of each other, so their discourse might be creative. Most of the time, it is best for that courtesy to be informal. The best rebuttal of the politics of hate is a torrent of love – or, if not love, at least of facts.

But sometimes, as Obama said, there is a yearning "to try to impose some order on the chaos". If American politics is now going the way of wounding, not healing, it needs the tonic of order. It is the great paradox of democracy. Free speech cannot exist without chains.


로날드 드워킨 "파괴적 결정"

The main theoretical flaw in Kennedy’s opinion is different, however. The opinion announces and perpetuates a shallow, simplistic understanding of the First Amendment, one that actually undermines one of the most basic purposes of free speech, which is to protect democracy. The nerve of his argument—that corporations must be treated like real people under the First Amendment—is in my view preposterous. Corporations are legal fictions. They have no opinions of their own to contribute and no rights to participate with equal voice or vote in politic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