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rom tistory, 2010.1.3>
- 뉴욕타임즈 데이비드 브룩스의 The Protocol Society란 칼럼을 읽고 쓰다
1. 아이폰 vs. 옴니아 균열의 형성과 정치적, 경제적 연합지난 12월 한국에 정식 발매된 아이폰은 단순히 국내에 소개되지 못했던 외국 공산품이 들어온 것 이상의 의미를 갖는듯 보인다. 그것은 가전 혹은 통신 시장에서 기존 주요 메이커의 점유율의 변화를 넘어, 사회적, 문화적 그리고 정치적 충격을 주었고, 이에 상응하는 균열(cleavage)을 만들고 있다.
균열은 언론 등을 통해 아이폰 vs. 옴니아2, 혹은 KT/애플 vs. SKT/삼성의 구도로 즐겨 묘사된다. 그러나 이는 단편적이고 피상적이다. 왜냐면 이번 균열은 특정 제품군의 스펙 싸움이나 브랜드간 충성도 경쟁으로 환원될 수 깊이와 크기를 갖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를 제대로 이해하기 위해 누가 이 갈등에 참여하는지를 아는 것이 필요하다. 누가 아이폰 vs. 옴니아2 라는 균열을 형성, 유지, 발전시키고 있는가?
'옴니아2' 팀의 대표선수는 단연 국내 대기업(제조업과 통신사)이다. 그 연합의 성격은 비교적 간명하다. 그간 누려왔던 독점이익을 가급적 오래 유지하거나, 혹은 일정 정도 후퇴가 불가피하다면 그 수준을 최소화 하는 것이다. 그렇게 유지된 그들의 독점이익은 이 연합의 보조 파트너를 구성하는 주류 언론들에 광고비 명목으로 배분된다. 왜 주류 언론들이 때로는 제조업체나 통신업체 보다 이 연합에서 더 가시적인 집단으로 보이는 이유이다. 옴니아 연합은 기본적으로 독점이익 보호라는 경제적 성격을 띄지만, 이런 목표 달성을 위해 언론, 정치권과 관료집단, 시민사회에서 어느 정도의 지지를 확보하지 않고서는 불가능하다. 따라서 그것은 정치적 성격을 띈다.
다른 편의 대표선수는 누구인가? 흔히 생각하는 것처럼 애플도 KT도 아니다. 그들 역시 높은 시장점유율과 이윤을, 그리고 가능하다면 독점적 시장위치와 이윤을 추구하는 기업이다. 이 진영의 대표선수는 영민한 소비자들이다. 아마도 그들 중 일부는 얼리어댑터라 불리울 것이며, 대체로 중산층 이상의 소득과 평균 이상의 학력을 가졌을 것이다. 그래서 국내 뿐 아니라 세계시장의 변화에 민감하고, 현재의 상태가 자신들에 강제한 결과(손해)를 인식하게 된 이들이다. 그러나 '보통의' 소비자에서 '행동하는' 소비자로의 그들의 이동은 결코 자연스럽거나 필연적 과정은 아니다. 이를 가능케 한 것은 불만이다. 자신들의 선호는 제대로 반영하지도 않으면서도, 지불해야 할 비용은 터무니 없이 높은 폐쇄적인 한국 통신시장에 대한 누적된 불만이 어떤 시점에서 임계점에 도달했고, 그것이 아이폰을 계기로 폭발했을 것이다. 애플과 KT는 이런 불만에 편승한 기업이며, 이러한 그들의 행동에 옳고 그른 규범적 판단은 무의미 하다. 부수적으로 이들에 더해 아마도 한국 전자, 통신, IT 시장에서 비주류적 위치에 놓여 있는 다양한 소규모 기업들과 개인들이 이런 소비자의 움직임에 공개적으로 혹은 암묵적으로 지지와 동조를 보내고 있다. 따라서 이 연합의 일차적 성격 역시 이익에 기반해 있다. 그러나 다시 이런 이익의 달성을 위해서 한국의 사회경제적 기득질서와 정면으로 부딪히지 않고서는 불가능하다. 따라서 이 역시 정치적 성격을 갖는다. 아이폰 연합에서 옴니아 연합의 주류 언론이 수행하는 역할을 수많은 블로거들이 수행하고 있다.
요컨대 하나의 전자제품에 불과한 아이폰이 이처럼 큰 사회경제적, 그리고 정치적 파장을 만들어 내는 데는 바로 이것이 경제적, 정치적 기득질서의 유지와 변화라는 중요한 균열을 형성하고 있기 때문이다.
2. 물적 재화 경제와 프로토콜 경제
여기서 어느 편의 주장이 더 옳은지에 대한 규범적 판단도, 혹은 어느 편이 승리할는지에 대한 전망을 얘기하는 것은 의미가 없거나 성급하다. 다만 최근 읽은 뉴욕타임즈 칼럼에서 데이비드 브룩스가 설명한 protocol society/economy라는 개념을 소개해본다.
브룩스는 현재의 미국을 옥수수, 철, 트럭 등을 생산해 내던 19~20세기와는 다른 프로토콜을 생산하는 사회로 설명한다. 여기서 프로토콜은 일련의 지시들의 집합(sets of instructions)으로 정의된다. 즉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은 정보들을, 신약(new drugs)은 화학물질을, 월마트는 다양한 소비재를 이동과 마케팅을 조직하는(organizing) 프로토콜이다. 브룩스는 심지어 우리가 자동차를 구매할 때 지불하는 비용의 대부분은 금속, 유리 등의 원자재가 아니라, 디자인에 배태된 지식, 즉 프로토콜에 대한 것이라 말한다.
브룩스에 따르면, 과거의 물질적 재료 경제(physical stuff economy)와 새로운 프로토콜 경제는 매우 다른 성격을 가진다고 한다. 가장 대표적으로 희소성의 법칙의 적용 여부인데, 일례로 한 조각의 금속은 동시에 사용할 수 없지만, 동일한 소프트 웨어는 동시에 사용할 수 있다는 것이다. 이것이 어떤 의미를 갖나? 희소성의 법칙에 종속되는 물적 재료들은 목재처럼 다 써버릴 수 있는 것이며, 따라서 그 가격은 수요공급의 법칙에 의존해 균형을 찾아간다. 이에반해 좋은 아이디어는 결코 다 써버릴 수 없는 것이며, 아이디어라는 시장에서 그 균형은 좀처럼 만들어 지지 않는다. 즉 끊임없이 새로운 시장과 부를 창출해 낼수 있는 것이다.
브룩스에 따라면 이미 미국에서 수많은 경제학자들은 물질적 재화 경제와 현대 프로토콜 경제 사이의 차이를 정의하는 노력을 기울이기 있다고 한다. 대표적으로 그는 Arnold Kling 과 Nick Schulz 교수 [빈곤에서 번영으로; From Poverty to Prosperity]를 인용하고 있다. 그들 주장의 핵심은 현대 경제의 성공은 결국 새로운 프로토콜을 고안하고 수용하는 능력에 달려 있다는 것이다. 즉 그들은 각국이 보유한 새로운 아이디어를 수용하는 속도와 능력의 차이(adaptive efficiency)가 미래의 해당 국가들의 경제적 명운을 좌우한다는 것이다.
그렇다면 어떻게 프로토콜 사회로 나아갈 수 있는가?
그들은 프로토콜이 형체를 물적 형체를 갖지 않듯이, 한 사회가 이를 고안하고 수용하는 능력 역시 무형적 속성을 띈다는 점을 지적하며, 몇가지 무형적 조건을 열거한다. 가장 대표적인 것이 국가의 작동 시스템이다. 예컨대, 법, 규제, 재산권 등에 관련된 법과 제도가 여기에 해당된다. 프로토콜 사회로 나아고자 하는 국가는 아이디어의 흐름을 격려하는 동시에 무형의 재산에 투여된 투자(지적 재산권)를 보호하는 방법을 고안하고 발전시켜가야 한다고 본다.
두번째 조건으로 경제적 문화를 꼽는다. 그들은 콜럼비어 대학의 Edmund S. Phelps의 주장을 인용하며, 중요한 것은 경제적 문화 즉 불확실성에 대한 태도, 리더십 행사에 대한 의지, 명령을 따르려는 의지가 필수적이라는 것이다. 이런 경제적 문화가 용감한 소비자(daring consumers)와 자본을 가지고 놀 젊은 연구자들 고무하는데, 이것이 강력한 경제로의 이행에 중요한 조건이라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그들은 프로토콜 경제에 내제된 불평등을 향한 경향성을 지적한다. 왜냐면, 어떤 사회는 이미 새로운 아이디어의 고안하고 수용하는 문화적 조건을 갖추고 있는 반면, 다른 사회는 그렇지 않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미 프로토콜 경제를 발전시킨 나라는 더욱 더 빠르게 프로토콜 경제로 나아가는 반면, 그렇지 않은 사회 즉 물적 재화 경제에 의존한 나라가 프로토콜 경제로 이행하기는 훨씬 더 어려움을 강조한다.
3. 불만, 저항, 프로토콜 경제로의 이행 조건
프로토콜 경제 혹은 사회라는 개념은 앞서 소개한 아이폰 도입을 둘러싸고 형성된 균열과 그 속에 위치한 정치, 경제적 연합을 이해하는 새로운 시각을 준다.
프로토콜 개념을 빌어 옴니아와 아이폰의 차이를 설명할 수 있을 것이다. 둘다 스마트 폰이라는 점에서, 기존의 휴대폰 혹은 그 이전의 유선 전화기에 비교할 때, 두 제품 모두 그 가격에서 소비자들이 프로토콜에 지불하는 비용을 현저히 높인 것이라 하겠다. 그러나 두 제품만을 서로 비교해 본다며, 아이폰의 프로토콜 비중이 옴니아 보다 훨씬 더 클 것이라는 데 쉽게 동의할 수 있을 것이다. 그 사실은 사실 자신의 제품들에 대한 광고에서 그들 스스로 말하고 있는 것이다. 옴니아가 주로 카메라 화소와 액정화면 크기를 강조하는 반면에, (물론 휴대폰에 처음으로 카메라를 접목시키려는 생각은 중요한 프로토콜이다. 그러나 이후 단순히 카메라의 화소를 높이는 것은 단순하 물적재화의 경쟁이며, 이는 비용함수에 의존한다) 아이폰은 수많은 어플을 대표로, 아이폰을 통해 달라진 생활, ~~하기 때문에를 강조한다.
프로토콜 경제라는 개념은 현재의 아이폰을 만들어진 갈등구조의 성격과 그 방향성에 대해서도 중요한 함의를 제시한다. 결국 한국경제는 물적재화 경제에서 프로토콜 경제로의 이행 국면에 놓여있다고 말할 수 있기 때문이다. 사실 한국 경제, 혹은 한국 기업이 과거의 농촌경제, 혹은 수출대체나 낮은 가격에 의존한 저급한 복제품 수출에 의존한 경제를 거쳐 물적재화 경제라는 경쟁에서 현재의 위치에 도달한 것만으로도 평가할 만하고 사실 경이적인 것이라 하겠다.
그러나 한국경제와 주력 수출 대기업들이 처해 있는 세계시장에서의 위치와 상황은, 그들 스스로 차세대 성장전략, 산업, 제품 없이 세계시장에서 곧 도태될 것이란 위기감을 토로하듯이, 한국경제가 가야할 방향성을 말해준다. 그것은 생산과 이윤이 생산비용곡선에 전적으로 의존하는 물적재화 경제에서 한국경제와 기업은 현상 유지도 어렵다는 것이며(소위 레드오션), 생산과 이윤이 사실상 무한한(블루오션) 아이디어의 경쟁, 즉 프로토콜의 경제로 이행을 서둘러야 한다는 것이다. 이렇게 볼 때, 이번 아이폰이 가져온 논란은 한국 경제와 주요 기업의 위치와 세계시장의 변화의 트렌드를 체감케 하는 계기가 되었다는 점에서 긍정적이라 하겠다.
문제는 이번 논란에서 보듯이 한국기업들이 과거의 전략과 status quo가 가져다 준 혜택을 고수하려는 듯한 자세이다. 그리고 자신들의 가공할 정치적, 경제적 힘을 무기로 프로토콜 사회로의 이행에 도움이 되는 조건들의 형성을 강력하게 저항하고 있다는 점이다. 그 속에서 용감한 소비자와 자본을 가지곤 놀 젊은 연구자/개발자들의 형성은 계속 지체될 것이며, 결국 이는 한국경제와 기업의 이행의 속도를 현저히 떨어뜨릴 것이다. 그러나 사실 기업들이 단기적 이윤의 감소를 수용하고 불확실성이 내재된 장기적 투자에 나서는 것은 결코 쉬운 선택이 아닐 것이다. 결국 용감한 소비자와 정부가 그들이 변화를 수용하도록 유인 또는 강제하는 수밖에 없다.
댓글 없음:
댓글 쓰기